top of page

10학년 커리큘럼 및 준비해야할 포인트! -2

SAT준비

SAT준비는 빠르면 9학년에서 10학년 올라가는 여름 방학 때 보통 진행하게 됩니다. 9학년 때에 아이의 단어 암기가 충분히 된 상황, 또한 Algebra 1,2, geometry 세가지 수업을 이수한 학생의 경우 SAT준비를 시작해야합니다.

SAT Reading

SAT에서 Reading에서 요구하는 능력치는 간단합니다. <문제낸 사람이 문제를 통해 무엇을 묻고싶은가, 저자가 지문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글과 차트와 연결성을 보여줘라, 단어암기는 성실하게 했니?> 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의사소통이 수월하게 가능한 학생인가에 대한 판단을 하는 영역입니다. reading은 읽는 능력이지만, 사실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생각해본다면, 대화할때에는 듣기능력, 이미 누군가 말한것을 적어놓은 “글”이라는 수단을 읽는 능력 이 두군데에서 모두 요구하는 능력치는 상대방의 말을 제대로 알아들을 수 있는가 입니다. SAT Reading을 통해 SAT시험 출제자들은 학생들을 “사회화”된 인간을 만들고 싶어한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일상 속에서 논리적으로 상대방의 말하는 것을 분석하는 능력이 있는 학생이라면, 지문을 분석하는 능력 또한 동일하므로 쉽게 적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만약, 이 부분이 어려운 학생의 경우, SAT와 대화하는 스킬을 학문적으로라도 습득하여 Reading을 공부해야할 것입니다.

성적 상승 방법

학생 개개인이 가진 장점과 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학생들마다 커스터마이즈된 sat공부 방법이 필요합니다. 다만 성적이 낮은 이유는 몇가지 유형으로 추려볼 수는 있겠습니다.

  1. 문제 시간 부족

  2. 단어 부족

  3. 지문의 논리 이해 능력 부족

  4. 지문과 보기와의 연결성을 이해하는 논리 부족

  5. 문학작품을 통한 정서 이해 필요

  6. 글의 구조화 능력 부족

  7. 집중 능력 부족

  8. 본인의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 부족 할 경우

  SAT writing

sat writing part는 결국 문법 문제입니다. 문법 공부는 시간을 오래 쓸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또한 결국 암기 문제입니다.

  1. 주어 동사 일치 문제

  2. 대명사가 가리키는 명사 찾기 문제

  3. 콜론,세미콜론, 콤마 사용 능력 파악 문제

  4. 논리적 연결 단어 찾기 문제

  5. to 부정사, 동명사, 동사의 정확한 이해 파악 문제

결국 이렇게 5개 유형으로 추려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주 나오는 패턴이지 추가 문제들도 존재 가능)

SAT Math

SAT Math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파트는 geometry & Algebra 2 두가지 입니다.

SAT를 풀기 위해서 geometry와 Algebra 2파트에 대한 노트정리를 해두면서 공부를 한다면 문제 푸는 데에 지장이 없을 것입니다.

또한, sat math는 정말 수학을 위한 시험이라기보다는 수학적 정보를 잘 습득하고, 이를 숫자문제, 글 응용 문제에 적용시켜서 빨리 풀어낼 수 있는가를 체크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수학에 대한 스킬적 접근으로 빠른 성적 향상이 가능합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10학년 커리큘럼 및 준비해야할 포인트! -1

10학년 커리큘럼 학교 수업 설정 전공과 연결된 AP수업 대회 준비 EC SAT준비 <2편에서 계속> ​ 학교 수업 설정 10학년 때부터는 학교 수업 선정시 어떤 AP 과목들을 이수해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해야할 시기입니다. 일반적으로...

 
 
 
9학년 커리큘럼 및 준비해야할 포인트!

9학년 커리큘럼 학교 수업 설정 SAT단어 암기 수학 algebra 1,2 & geometry 준비 관심사 와 전공을 연결한 EC시작 Research Projects Club Team Projects Volunteering Excercise...

 
 
 
7~8학년 커리큘럼 및 준비해야할 포인트!

- 7~8학년 커리큘럼   - 학교 내신 관리   - 영어 argumentative writing & 문학 독해 능력 향상   - 영어 단어 암기   - 수학 공부   - 관심사 탐구 - - - - - - - - - - - - - - - - -...

 
 
 

Comments


bottom of page